경기도기업경제인협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슈별 자료
국제동향

국제경제 [전경련자료] 중국시장 내 한국 점유율 변화

작성자 : 경기협

작성일 : 20-03-03 09:45

조회수 : 873

본문

2015년 이후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 점유율 지속 하락세​  


- 중국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 : 2015년 10.4%→2019년(1~11월) 8.5%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점유율 : 2016년 7.9% → 2018년 5.4%

- 재중 한국기업 투자액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률 모두 감소세

   ․ 매출액/투자액 (13년) 7.3% → (17년) 4.5%,  영업이익률 (13년) 4.9% → (17년) 3.8%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중국 소비시장이 2016-21년 기간 1조 8,000억 달러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함. 이는 2016년 한해 독일 소비시장 규모와 동일한 수준


  전경련이 UN Comtrade 무역통계를 이용하여 2010년부터 2019년(1~11월)까지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상위 4개국의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15년 10.4%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9년 8.5%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5년부터 중국 정부가 ‘중국제조2025’를 표방하며 자국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속 지원하면서 2015년과 비교하여 2019년 일본, 미국, 독일의 시장점유율 역시 하락했다. 일본은 8.5%에서 8.3%로, 미국은 8.9%에서 6.0%로, 독일은 5.2%에서 5.1%로 각각 하락했다.

20200217171932.png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각국의 위상 변화를 알 수 있는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시장점유율*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은 2016년 7.9%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5.4%로 2.5%p 하락했다. 한편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아세안은 2011년 10.2%에서 2018년 12.1%로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증가했다.

*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 수출구조 중 가공무역, 보세무역, 기타를 제외한 일반무역


20200217171600.png

 


재중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률 모두 감소세


  한편 재중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낮아졌다.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는 지난해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스마트폰․승용차 판매부진*이 계속되면서 시장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 한국 브랜드 자동차 점유율 : (2014년)  9.0% → (2019.1-4) 4.8%삼성 휴대폰 점유율        : (2014.1Q) 19% → (2019.1Q) 1.0%

20200217172128.png

 


미중 무역협상 합의로 韓 위기 전망, 對中 중장기 공략 다시 세워야


  이러한 가운데 금년 1월 워싱턴에서 G2인 미국과 중국이 약 2년에 걸친 치열한 협상 끝에 1단계 무역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향후 미국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접근도가 개선되면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의 對미 공산품 수입액은 2017년 788억불에서 2021년 1,565억불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수입비중은 2017년 9.1%에서 2021년 18.0%로 8.9%p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공산품뿐만 아니라 농산품, 에너지, 서비스 품목에서도 증가할 예정이어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공략이 더욱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200217171742.png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은 지난해 말 1인당 GDP 1만 달러 시대에 접어들었고 중국 정부도 내수시장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지금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엄 실장은 “우리 기업들이 중국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기업을 벤치마킹하여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하고,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서플라인 체인의 다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첨부파일